주식 복리의 마법사 2020. 3. 16. 23:09
재테크공부: 금리에 대해 쉽고 빠르게 총정리 안녕하세요. 글 쓰는 그니입니다. 코로나19의 여파로 세계 경제가 흔들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지난주에 미국이 금리를 0%로 내렸는데요. 이에 따라 한국은행도 기준금리를 0.75%로 전격인하하면서 사상 첫 0%대 시대에 돌입하게 되었습니다. 금리가 무엇이길래, 이렇게 금리 이야기가 계속 경제뉴스 코너에 나오는 것일까요? 오늘은 금리에 대해서 함께 정리해보도록 하죠. 금리란 무엇인가? 우리는 은행 예적금 상품을 선택할 때, 금리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선택하곤 합니다. 같은 금액을 저금하더라도 금리의 차이에 따라, 이자가 달라지기 때문이죠. 하지만 여기에서 말하는 금리와 이자는 다른 의미라고 합니다. 1. 금리는 가격이다. 돈워리스쿨의 내용을 빗대자면, 저축에서의 말..
더 읽기
주식 복리의 마법사 2020. 3. 16. 22:14
주식공부 4강. 액면가와 액면분할은 무슨 뜻일까? 안녕하세요. 글 쓰는 그니입니다. 오늘은 액면가라는 용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합시다. 액면가, 어떤 가격을 말하는 것일까요? 액면가란 주권표면에 적힌 금액을 뜻합니다. 좀 이해하기 쉽게 이야기하자면, 회사에서 주식을 처음 발행할때에 1주당 얼마로 할 것인지 결정한 금액이라고 합니다. 주당 5천원이 일반적이지만, 액면 분할을 하는 경우, 1천원, 5백원, 1백원 등으로 될 수가 있습니다. 자, 그러면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주식의 액면가들을 한번 알아볼까요? [SK하이닉스 액면가] SK 하이닉스의 액면가는 5000원이네요. SK 하이닉스가 주식을 발행했을 때의 가격이 5천원이였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5천원이였던 가격이 SK 하이닉스가 성장함에 따라, 8..
주식 복리의 마법사 2020. 3. 11. 20:39
안녕하세요. 글 쓰는 그니입니다. 오늘은 소득분위 기준과 코로나19의 재난극복소득에 대해 정리해놓으려고 합니다. 요즘 코로나 19 때문에 기업경제, 가정경제가 힘든 상황임을 인지한 정부가, 소득이 낮은 가구에게 지원하는 정책을 계획중이라고 하는데요~ 이게 바로 코로나19 재난극복소득이라고 합니다. 소득 하위60%에 50만원씩 지급하는 정책이라고 하는데.. 적절한 지원정책이라는 의견과 세금낭비라는 의견이 공존하는 상황입니다. 최고위원회의에서도 논의가 되었다고 하는 재난기본소득. 그 지급기준인 소득분위기준부터 알아보도록 하죠. 소득분위란? 소득분위란, 대한민국 전체 가구의 소득 수준에 따라 10%씩 나눈 지표입니다. 지표 1분위가 가장 낮은 소득을 의미한다고 하구요~ 높은 숫자의 분위일수록 높은 소득을 의미..
주식 복리의 마법사 2020. 3. 4. 23:25
주식공부 3강 : GDP 성장률로 주식시장 예상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글 쓰는 그니입니다. 오늘은 GDP 성장률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고자 합니다. 주가와 GDP성장률은 어떤 상관관계를 가질까요? GDP란? GDP란, 국내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 GDP)은 한 나라의 가계, 기업, 정부와 같은 모든 경제 주체가 일정기간 동안 생산한 재화 및 서비스의 부가가치를 시장가격으로 평가하여 합산한 것이다. 여기에는 비거주자가 제공한 노동, 자본 등 생산요소에 의하여 창출된 것도 포함되어 있다. 많은 사람들이 GDP를 경제가 좋다. 경제가 나쁘다의 판단 기준으로 삼고 있습니다. GDP성장률이 높다는 것은 생산, 소비, 소득이 증가해서 경제가 좋아진다는 뜻이기 때문이죠. 이는..
주식 복리의 마법사 2020. 2. 17. 22:55
주식공부 2강 : 코스피와 코스닥 차이점 쉽게 알아보자 Contents. 1. 종합주가지수란 무엇일까 2. 코스피 200 3. 코스닥지수 1. 종합주가지수(코스피지수) 란 무엇일까? 종합주가지수란 용어는 매일 아침, 뉴스와 신문을 통하여 확인할 수가 있다. 종합주가지수란 무엇일까? 종합주가지수란, 우리나라 주가 수준과 주가 동향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수라고 생각하면 된다. 위키백과를 확인하면,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회사들의 주식에 대한 총합인 시가총액의 기준시점과 비교시점을 비교하여 나타낸 지표라고 이야기를 하는데, 2005년 11월 1일부터는 이 종합주가지수가 코스피지수로 바뀌어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 2. 코스피200지수 코스피 200지수는 유가증권시장에 등록되어 있는 종목들 중에 업종의..
주식 복리의 마법사 2020. 2. 10. 22:26
주식공부 1강 : 증자와 감자, 무상증자와 유상증자는 호재일까? "하나금투 5000억 증자…'초대형 IB' 합류" 위의 제목의 기사들.. 익숙할 것이다. 우리는 증자와 감자, 그리고 무상증자, 유상증자라는 단어를 많이 보게 된다. 이 단어들이 무슨 뜻인지 쉽게 공부해보자. 1. 증자 증자란, 기업이 주식을 추가로 발행하여 자본금을 늘리는 것을 말한다. 이때 발행하는 새로운 주식을 돈을 받고 파는 것을 유상증자. 공짜로 지급되어질 때는 무상증자라고 한다. 2. 감자 감자란, 기업의 규모가 축소 될 때, 자본금을 줄이는 것을 말한다. 이때 주주에게 현금을 돌려주며 주식수를 줄이는 것을 유상감자. 아무런 대가 없이 주식수를 줄이는 것을 무상감자라고 한다. 3. 무상증자는 호재일까? 무상증자는 기업의 유보금을 ..
주식 복리의 마법사 2020. 2. 10. 13:08
글 쓰는 그니의 아담스미스 국부론으로 재테크공부하기 EBS자본주의로 재테크공부를 하고 있다. 오늘은 아담스미스의 국부론에 대해 공부하면서, 금융공부를 하는 포스팅을 남겨보고자 한다. #아담스미스 경제학의 아버지, 성서 이래에 가장 위대한 책이라 불리는 국부론의 저자. 글레스코대학의 교수. 이상한 걸음걸이와 말투로 유명했지만 인기가 많았던 교수였다고 한다. 아담스미스하면 사람들이 떠올리는 단어는 한개가 있을 것이다. 보이지 않는 손. 고등학교 2학년 경제 시간에 배웠던 이론이다. 이 보이지 않는 손이라는 개념을 주장한 아담스미스는 도덕감정론이라는 책도 썼었는데, 이 도덕감정론은 국부론의 이상과 일치한다. #도덕감정론 도덕감정론에서는 독자들에게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인간은 이기적인 존재인데, 어떻게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