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글 모음/기타 복리의 마법사 2020. 5. 6. 09:41
[IT 용어 정리] URI 와 HTTP 쉽게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글 쓰는 그니입니다. 오늘은 URI와 HTTP 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URI와 HTTP, 이 두 용어는 평상시에도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용어인데요. 이 용어들이 정확히 어떤 뜻인지에 대해 한번 알아보도록 하죠. URI 란 무엇인가? URI란 Uniform Resource Identifier 의 약자인데요. 인터넷에 있는 데이터나 자원을 나타내는 유일한 주소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유일한 주소라는 것에 알수 있듯이 우리들은 URI를 통하여, 어디에 데이터가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이 URI를 서버와 클라이언트 구조도와 함께 보도록 하죠. 웹의 특징은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있어야 한다는 것인데요. 서버 컴퓨터에는 응용프로그램들이 ..
더 읽기
이전 글 모음/기타 복리의 마법사 2020. 2. 8. 15:31
리팩토링 요약정리 오늘은 리팩토링이란 단어를 요약정리하며 알아보고자 한다. 생활코딩에서 배운 내용과 위키백과에서 가지고 온 내용을 정리하였다. 리팩토링 - 공장으로 다시 보내 개선한다는 의미로 생각해도 된다. - 코딩을 하고나면 코드가 좀 비효율적인 면이 생기기 마련, 동작하는 것은 그대로 두고 코드 자체를 효율적으로 만들어서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를 좋게 만들며, 중복되는 코드를 줄이는 것을 말한다. - 즉 비효율적인 것을 없애고 효율적으로 코드를 만든다라는 것이다. 위키백과로 본 리팩토링 리팩토링(refactoring)은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결과의 변경 없이 코드의 구조를 재조정함'을 뜻한다. 주로 가독성을 높이고 유지보수를 편하게 한다. 버그를 없애거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는 행위는 아니다. 사..
이전 글 모음/기타 복리의 마법사 2020. 2. 7. 16:39
GUID, UUID 쉽게 요약정리해보자 오늘 교육중에 자주 나온 용어를 간단히 요약정리하여 남겨놓기 위해 포스팅하여 정리해놓으려고 한다. GUID : globally unique identifier, GUID 전역 고유 식별자, 글로벌 고유 식별자 UUID :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UUID 범용 고유 식별자 GUID 전역 고유 식별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유사난수. GUID는 생성할 때 항상 유일한 값이 만들어진다는 보장은 없지만,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값의 수가 매우 크기 때문에, (16바이트, 128비트) 적절한 알고리즘이 있다면 같은 숫자를 두 번 생성할 가능성은 매우 적다. UUID 범용 고유 식별자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 모르는 개체들을 식별하고 구 별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