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글 모음/기타 복리의 마법사 2020. 11. 16. 22:24
인라인 이미지란 무엇인가? 인라인 이미지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하이퍼링크를 나타내기 위해 웹 페이지에 삽입되는 그래픽 이미지를 말합니다. 인라인 이미지는 데이터 URI 체계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에 통합되며 일반적으로 GIF, JPEG 또는 PNG 형식의 파일입니다. #URI에 대해 궁금하면 아래의 글 확인# 2020/05/06 - [IT/기획자의 IT 시스템 공부] - [쉽게 읽는 IT시스템] URI 와 HTTP 쉽게 이해하기 [쉽게 읽는 IT시스템] URI 와 HTTP 쉽게 이해하기 [IT 용어 정리] URI 와 HTTP 쉽게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글 쓰는 그니입니다. 오늘은 URI와 HTTP 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URI와 HTTP, 이 두 용어는 평상시에도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용어 hg..
더 읽기
이전 글 모음/기타 복리의 마법사 2020. 5. 10. 16:29
안녕하세요. 글 쓰는 그니입니다. 오늘은 웹 어플리케이션의 정적 콘텐츠와 동적 콘텐츠에 대해 쉽게 요약정리를 해보고자 합니다.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웹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 있는데요. 이 모든 웹 어플리케이션이 정적 콘텐츠와 동적 콘텐츠를 함께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여기에서 말하는 정적 콘텐츠와 동적 콘텐츠는 무엇일까요? 이 콘텐츠들에 대한 설명을 들어가기 전, 웹 어플리케이션이 무슨 뜻인지 먼저 확인해보고 알아보도록 합시다. 웹 어플리케이션이란? 웹 브라우저를 통해서 인터넷(HTTP)로 접근해서 사용하는 응용프로그램을 웹 어플리케이션이라고 합니다. 회사에서 사용중인 그룹웨어나, 전자결재 시스템, CRM 과 같은 다양한 업무 전산시스템을 웹 어플리케이션이라고 말할 수가 있죠. 회사에서 뿐만 ..
이전 글 모음/기타 복리의 마법사 2020. 5. 10. 14:34
IT서비스 기획자의 서비스 글쓰기 공부하는 방법 #테크니컬라이팅 안녕하세요. 글 쓰는 그니입니다. 저는 회사에서 IT서비스기획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이전 직장에서도 CTI솔루션 기획업무를 하며 테크니컬 라이팅, 즉 기술문서 작성 작업을 많이 했었는데요. 현재 다니고 있는 회사에서도 IT서비스에 대한 프로그램 명세서, API 연동 기획 문서 작성과 같은 서비스 글쓰기 업무가 기본적인 역량으로 필요해왔습니다. 이런 역량을 베이스로 둔 채로 다양한 기획 업무를 했어야 했는데, 이런 서비스 글쓰기에 대해서 배울 수 있는 곳이 없었습니다. 그러던 중 회사 도서관에서 이 책을 발견하였습니다. 웹 기획자가 알아야 할 서비스 글쓰기의 모든 것 NHN에서 테크니컬 라이터로 근무하는 분들이 쓴 이 책은 NHN에서의 서비..
이전 글 모음/기타 복리의 마법사 2020. 3. 26. 21:01
[채용공고] 이랜드몰 서비스기획/개발자 연봉 및 복지정보 안녕하세요. 글 쓰는 그니입니다. 오늘은 이랜드몰의 채용공고를 통하여, 서비스 기획자의 커리어를 쌓아가려면 어떤 역량을 쌓아야할 지 알아보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채용공고에서의 우대사항과 자격요건을 준비하며, 기업에서 원하는 인재가 어떤 사람인지에 대해 미리 알아보며, 지금의 나는 어떤 준비를 해야하는지 한번 알아보도록 합시다. 이랜드몰 채용공고 모집분야 자격요건 서비스기획 담당업무 ㆍ이랜드몰(PC/MOBILE) 서비스 프로세스 설계 ㆍ이랜드몰(PC/MOBILE) 화면 기획 ㆍFront-end / Back-end 기획 및 운영 ㆍ고객만족도 향상을 위한 서비스 개선 방향 수립 자격요건 - 이커머스 플랫폼 기획 3년이상 경험 우대사항 ㆍ상품/주문결제..
이전 글 모음/기타 복리의 마법사 2020. 3. 17. 23:02
[JAVA] 간단한 자바프로그램 만들어보자. 안녕하세요. 글 쓰는 그니입니다. 저는 IT 기획자로 커리어를 쌓아가고 있습니다. 역량있는 IT기획자가 되기 위해서는 전반적인 IT 지식들을 알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느끼고 있는 나날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개발, 기획, 인프라, 보안 등 다양한 속성의 지식들이 모여져야 고객이 만족하는 시스템으로 구축될 수 있다는 것을깨닫고 있는 오늘. 오랜만에 자바코딩을 다시 시작해보고자 합니다. 대학생때는 코딩에 대해서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았었는데.. 결국은 이 코딩의 영역에 도전을 해야하는 상황이 되었네요. 앞으로도 틈틈히 자바 코딩을 하면서, 최종적으로는 제가 개발한 시스템을 하나 만들어보고 싶습니다. 오늘은 간단한 자바프로그램을 만들어보면서 코딩감각을 다시 끌어올려봅..
이전 글 모음/기타 복리의 마법사 2020. 2. 17. 22:22
스웨거(Swagger)와 오픈API 란? Contents. 1. OpenAPI란 무엇인가? 2. 스웨거란? API 연동기획업무를 하게 되었다. 새로운 플랫폼의 한 서비스에서의 API 연동기획 담당자가 되었는데, 처음부터 필요한 직무지식을 쌓아야하는 상황이다. 오늘부터 올릴 포스팅 시리즈는 API 연동 기획업무의 학습과정이다. 이 업무의 숙련자가 되는 과정을 기록해보도록 하겠다. API를 기획하는 업무의 첫시작은 Swagger(스웨거) 에 대해 잘 알아야하는 것 부터였다. OpenAPI란 무엇인가? 오픈 API에 대해서 알기 전에, API가 무엇인지에 대해 정리해보겠다. API란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 체제나 프로그래밍 언어..
이전 글 모음/기타 복리의 마법사 2020. 2. 8. 15:31
리팩토링 요약정리 오늘은 리팩토링이란 단어를 요약정리하며 알아보고자 한다. 생활코딩에서 배운 내용과 위키백과에서 가지고 온 내용을 정리하였다. 리팩토링 - 공장으로 다시 보내 개선한다는 의미로 생각해도 된다. - 코딩을 하고나면 코드가 좀 비효율적인 면이 생기기 마련, 동작하는 것은 그대로 두고 코드 자체를 효율적으로 만들어서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를 좋게 만들며, 중복되는 코드를 줄이는 것을 말한다. - 즉 비효율적인 것을 없애고 효율적으로 코드를 만든다라는 것이다. 위키백과로 본 리팩토링 리팩토링(refactoring)은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결과의 변경 없이 코드의 구조를 재조정함'을 뜻한다. 주로 가독성을 높이고 유지보수를 편하게 한다. 버그를 없애거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는 행위는 아니다. 사..
이전 글 모음/기타 복리의 마법사 2020. 2. 7. 16:39
GUID, UUID 쉽게 요약정리해보자 오늘 교육중에 자주 나온 용어를 간단히 요약정리하여 남겨놓기 위해 포스팅하여 정리해놓으려고 한다. GUID : globally unique identifier, GUID 전역 고유 식별자, 글로벌 고유 식별자 UUID :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UUID 범용 고유 식별자 GUID 전역 고유 식별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유사난수. GUID는 생성할 때 항상 유일한 값이 만들어진다는 보장은 없지만,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값의 수가 매우 크기 때문에, (16바이트, 128비트) 적절한 알고리즘이 있다면 같은 숫자를 두 번 생성할 가능성은 매우 적다. UUID 범용 고유 식별자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 모르는 개체들을 식별하고 구 별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