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요약정리] 리스트 함수 활용하기




numbers = []

i = 0

while i < 10:

    i = i + 1

    numbers.append(i)

    

print(numbers)


i = 0

while i < len(numbers):

    if numbers[i] % 2 != 0:

        del numbers[i]

    else:

        i = i + 1

    

print(numbers)

    

numbers.insert(0, 20)    

print(numbers)


numbers = sorted(numbers)

print(numbers)







primes = [2, 3, 5, 7, 11, 13, 17, 19, 23]


print(7 in primes)

print(12 in primes)


True

False




거꾸로 값이 없는지 확인하려면 in 앞에 not을 붙이기


primes = [2, 3, 5, 7, 11, 13, 17, 19, 23]

print(7 not in primes)

print(12 not in primes)


False

True




리스트 안의 리스트 (Nested List)


리스트 안에는 또 다른 리스트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를 영어로 nested list라고 부릅니다.


# 세 번의 시험을 보는 수업

grades = [[62, 75, 77], [78, 81, 86], [85, 91, 89]]


# 첫 번째 학생의 성적

print(grades[0])


# 세 번째 학생의 성적

print(grades[2])


# 첫 번째 학생의 첫 번째 시험 성적

print(grades[0][0])


# 세 번째 학생의 두 번째 시험 성적

print(grades[2][1])




# 첫 번째 시험의 평균

print((grades[0][0] + grades[1][0] + grades[2][0]) / 3)

[62, 75, 77]

[85, 91, 89]

62

91

75.0

sort 메소드


저번에 정렬된 새로운 리스트를 리턴시켜주는 sorted 함수를 보여드렸습니다. some_list.sort()는 새로운 리스트를 생성하지 않고 some_list를 정렬된 상태로 바꿔줍니다.


numbers = [5, 3, 7, 1]

numbers.sort()

print(numbers)

[1, 3, 5, 7]

reverse 메소드


some_list.reverse()는 some_list의 원소들을 뒤집어진 순서로 배치합니다.


numbers = [5, 3, 7, 1]

numbers.reverse()

print(numbers)

[1, 7, 3, 5]

index 메소드


some_list.index(x)는some_list에서 x의 값을 갖고 있는 원소의 인덱스를 리턴해줍니다.


members = ["영훈", "윤수", "태호", "혜린"]

print(members.index("윤수"))

print(members.index("태호"))

1

2

remove 메소드


some_list.remove(x)는some_list에서 첫 번째로 x의 값을 갖고 있는 원소를 삭제해줍니다.


fruits = ["딸기", "당근", "파인애플", "수박", "참외", "메론"]

fruits.remove("파인애플")

print(fruits)

['딸기', '당근', '수박', '참외', '메론']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